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감자도 개발해요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감자도 개발해요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47)
    • 일기 (4)
    • 패스트캠퍼스 (13)
      • 과제 (6)
      • 기자단 (7)
    • 백엔드 공부하기 (40)
      • TIL (40)
    • 알고리즘 공부하기 (21)
      • 백준 (13)
      • 프로그래머스 (1)
    • CS (18)
      • 자료구조 (6)
      • 운영체제 (7)
      • 네트워크 (0)
      • 데이터베이스 (5)
    • SQL 공부 (1)
    • Git (3)
    • JAVA (12)
    • Spring boot (17)
      • MSA (1)
    • Spring (2)
    • node js (16)
      • 노드 리액트 기초 (9)
  • 방명록

node js (16)
[express] react 기본 설정 : es7, react-router-dom 다운

** es7 다운 받으면, rfce만 해도 자동으로 파일의 기본형식을 채워준다. 1. 폴더 설정 client -> src -> components -> views -> LandingPage/LoginPage/RegisterPage 폴더 생성. client -> src -> hoc 2. react router dom 다운로드 - 강의에서는 버전5인데 현실에서는 6으로 업데이트되면서 많은 것이 바꼈다. 그치만 강의로 따라가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버전 5로 다운받았다. 이미 6으로 설치했다면 npm uninstall react-router-dom --save 고 $ npm install react-router-dom@5 --save *참고사이트 https://v5.reactrouter.com/web/guides..

node js/노드 리액트 기초 2023. 5. 2. 19:36
[express] react 설치

client 폴더를 생성해주어, react 를 다운받았다. $ mkdir client $ cd client $ npx client-react-app . * npm 과 npx의 차이 npm (node package manager) 1. 레지스터리 라이브러리 보관. 2. 배포할 때, 사용. 3. -g 을 추가하면 글로벌로 다운받아지고, 일반적으로는 로컬로 다운받아 프로젝트 안에서만 사용가능하다. npx 1. npm의 모듈의 일종. 2. 모듈을 로컬에 저장하지 않고, 매번 최신 버전의 파일을 임시버전으로 불러와 실행시킨 후에, 다시 파일이 없어지는 방식으로 돌아가는 방식. 3. 즉 변동사항이 잦은 create-react-app 같은 보일러 플레이트 모듈에 효과적이다. 장점 - 저장공간 낭비 없음. 항상 최신 ..

node js/노드 리액트 기초 2023. 5. 2. 16:41
[express] 로그아웃 기능 만들기

1. [index.js] 로그아웃 라우트 만들기 동작 방식 로그아웃하면, 쿠키에 저장된 토큰을 가져와서 DB에서 ""으로 업데이트 해주어 로그아웃을 완료한다. //auth -> 쿠키에 저장된 userId를 바탕으로 토큰을 찾아 user 반환하는 미들웨어. app.get('/api/users/logout', auth ,(req,res) => { User.findOneAndUpdate( {_id : req.user._id}, {token : ""}, (err,user) => { console.log("user, ", req.user); if (err) return res.json({success:false, err}); return res.status(200).send({ success: true }); }..

node js/노드 리액트 기초 2023. 5. 2. 15:39
[express] Authentication, Auth 기능 만들기 (인증 기능)

Auth 기능이란? 특정 서비스를 로그인한 유저 혹은 관리자 유저 처럼 특정 유저들만 쓸 수 있도록 하는 기능. 1) 쿠키에 저장된 토큰을 서버에 가져와서 복호화한다. 2) 복호화를 하면 user ID가 나오는데, 그 user ID를 이용해서 데이터베이스 User Controller에서 User를 찾은 후, 쿠키에서 받아온 토큰을 갖고 있는지 확인한다. userSchema.statics.findByToken = function(token, cb) { var user = this; // verify a token symmetric //토큰을 디코드 한다. //decoded -> userId jwt.verify(token, 'secretToken', function(err, decoded) { //conso..

node js/노드 리액트 기초 2023. 5. 1. 13:20
[express] 회원가입 및 로그인 구현하기.

회원가입 구현 1. [models/User.js] user 관리를 위한 user 스키마 만들기. https://nebulaisme.tistory.com/20 [express] mongoose 이용 : 회원 관리를 위한 User 스키마 만들기 * 스키마 (Schema) 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조건에 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을 의미함. 1. 만들고자 하는 프로젝트 폴더에 스키마 저장을 위한 models 폴더를 만들고, User 스키마를 만 nebulaisme.tistory.com 2. [index.js] 회원가입 할 때 필요한 라우트 생성 app.post('/register', (req, res) => { //회원가입 할 때 필요한 정보들을 client에서 가져오면 데이터베이스에 넣어준다. c..

node js/노드 리액트 기초 2023. 5. 1. 01:14
[express] bcrypt를 이용하여 비밀번호 암호화하기.

비밀번호를 그대로 DB에 올리면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암호화해서 DB에 올려야한다. 1. bcrypt 설치. $ npm install bcrypt --save https://www.npmjs.com/package/bcrypt bcrypt A bcrypt library for NodeJS.. Latest version: 5.1.0, last published: 7 months ago. Start using bcrypt in your project by running `npm i bcrypt`. There are 3879 other projects in the npm registry using bcrypt. www.npmjs.com 위의 사이트에 사용법은 나와있다! 2. salt를 이용해서 비밀번호를 암호화..

node js/노드 리액트 기초 2023. 4. 30. 01:01
[express] mongoose [MongooseError: Model.prototype.save() no longer accepts a callback] 에러 + mongoose 버전 다운그레이드

JSON 형태로 보내는 과정에서 말 그대로 MongooseError: Model.prototype.save() no longer accepts a callback 에러가 떴었다. 이유를 찾아보니까, mongoose 7.0(?) 아무튼 현재 버전에서는 문법이 바꼈단다. 콜백 함수를 더이상 지원하지 않는다고.. 어떡하지? ㅎㅎ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5586474/mongoose-stopped-accepting-callbacks-for-some-of-its-functions Mongoose stopped accepting callbacks for some of its functions I've been using callbacks for .save() and .fi..

node js/노드 리액트 기초 2023. 4. 29. 21:44
[express] mongoose 이용 : 회원 관리를 위한 User 스키마 만들기

* 스키마 (Schema) 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조건에 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을 의미함. 1. 만들고자 하는 프로젝트 폴더에 스키마 저장을 위한 models 폴더를 만들고, User 스키마를 만들기 위한 User.js 파일을 만들어준다. 2. 코드 : userSchema에 스키마를 작성한다. const mongoose = require('mongoose'); const userSchema = mongoose.Schema({ name: { type: String, maxlength: 50 }, email: { type: String, trim: true, unique: 1 //unique 속성 추가. }, password: { type: String, minlength: 5 }, last..

node js/노드 리액트 기초 2023. 4. 29. 17:16
이전 1 2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야놀자X패스트캠퍼스부트캠프
  • 커리어멘토링
  • 카카오API
  • 자료구조 #스택 #큐 #덱 #선형자료구조
  • 백엔드개발자
  • 스터디후기
  • 국비지원캠프
  • 백준
  • 패스트캠퍼스
  • qjzl
  • 그룹스터디
  • 백엔드
  • springboot
  • TiL
  • 채팅기능개발
  • 자료구조
  • 부트캠프
  • 국비지원취업
  • 데이터베이스
  • boj
  • 백엔드부트캠프
  • 그룹스터디워크샵
  • 패스트캠퍼스강의
  • 과정중간회고
  • 프로젝트후기
  • 국비지원
  • #국비지원취업
  • Java
  • be
  • 야놀자
more
«   2025/08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