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인덱스란? 추가적인 쓰기 공간과 저장 공간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구조. 예를 들어 하나의 책을 볼 때 앞에 목차가 있어서 원하는 페이지를 쉽게 찾을 수 있듯이, 데이터베이스에서도 인덱스를 두어 원하는 정보를 보다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인덱스가 책의 목차의 개념이 된다. 2. 인덱스의 특징 및 사용하는 이유. 실제 DB에 많은 값들이 저장이 되면 select 문을 실행시킬 때 where 절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속도 저하 문제를 index를 통해 해결하는 방법이 있기 때문에 알아두면 편리하다. 1) 인덱스는 정렬이 되어있다. 테이블을 만들고 뒤죽박죽으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나면, 검색시 모든 데이터들을 확인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1. 비선형 자료구조란? (Non-Linear) 자료 뒤에 하나의 자료만 올 수 있던 선형 자료구조와 달리, 여러 개의 자료가 올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 계층적인 구조도 비선형 자료구조이다. 1:n 혹은 n:n 관계을 나타낸다. 트리, 그래프가 해당 구조에 해당된다. 2. 트리의 개념 트리는 계층적인 자료를 표현하는데 적합한 자료구조이다. 또한 한 개 이상의 노드로 이루어진 유한집합이다. 트리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A 부터 I 까지 노드 (node) 라고 한다. 📌 트리의 용어들 루트 노드 : A (계층적인 구조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노드) 서브 트리 : 루트 제외한 나머지 노드들 간선 : 노드간의 연결선 부모 노드 : A는 C의 부모 노드 자식 노드 : C는 A의 자식 노드 형제 노드 : D, E는..
- Total
- Today
- Yesterday
- 국비지원
- 야놀자X패스트캠퍼스부트캠프
- 자료구조 #스택 #큐 #덱 #선형자료구조
- 프로젝트후기
- 백엔드부트캠프
- 자료구조
- 채팅기능개발
- 부트캠프
- 과정중간회고
- 데이터베이스
- 국비지원취업
- 카카오API
- #국비지원취업
- 스터디후기
- 백엔드
- 백엔드개발자
- be
- 커리어멘토링
- springboot
- 국비지원캠프
- qjzl
- 야놀자
- 패스트캠퍼스강의
- TiL
- 백준
- boj
- 패스트캠퍼스
- 그룹스터디
- 그룹스터디워크샵
- Jav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