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제명 : 문자열 지옥에 빠진 호석
난이도 : 골드5 / 1초 / 512MB
문제
더보기
하루 종일 내리는 비에 세상이 출렁이고 구름이 해를 먹어 밤인지 낮인지 모르는 어느 여름 날
잠 들기 싫어 버티던 호석이는 무거운 눈꺼풀에 패배했다. 정신을 차려보니 바닥에는 격자 모양의 타일이 가득한 세상이었고, 각 타일마다 알파벳 소문자가 하나씩 써있다더라. 두려움에 가득해 미친듯이 앞만 보고 달려 끝을 찾아 헤맸지만 이 세상은 끝이 없었고, 달리다 지쳐 바닥에 드러누우니 하늘에 이런 문구가 핏빛 구름으로 떠다니고 있었다.
- 이 세상은 N행 M열의 격자로 생겼으며, 각 칸에 알파벳이 써있고 환형으로 이어진다. 왼쪽 위를 (1, 1), 오른쪽 아래를 (N, M)이라고 하자.
- 너는 아무 곳에서나 시작해서 상하좌우나 대각선 방향의 칸으로 한 칸씩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이미 지나 왔던 칸들을 다시 방문하는 것은 허용한다.
- 시작하는 격자의 알파벳을 시작으로, 이동할 때마다 각 칸에 써진 알파벳을 이어 붙여서 문자열을 만들 수 있다.
- 이 곳의 신인 내가 좋아하는 문자열을 K 개 알려줄 터이니, 각 문자열 마다 너가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잘 대답해야 너의 세계로 돌아갈 것이다.
- 경우의 수를 셀 때, 방문 순서가 다르면 다른 경우이다. 즉, (1,1)->(1,2) 로 가는 것과 (1,2)->(1,1) 을 가는 것은 서로 다른 경우이다.
호석이는 하늘을 보고서 "환형이 무엇인지는 알려달라!" 며 소리를 지르니 핏빛 구름이 흩어졌다가 모이며 아래와 같은 말을 그렸다.
- 너가 1행에서 위로 가면 N 행으로 가게 되며 반대도 가능하다.
- 너가 1열에서 왼쪽으로 가면 M 열로 가게 되며 반대도 가능하다.
- 대각선 방향에 대해서도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 하늘에 아래와 같은 그림을 구름으로 그려줄 터이니 이해해 돕도록 하여라.
- 예를 들어서, 너가 (1, 1)에서 위로 가면 (N, 1)이고, 왼쪽으로 가면 (1, M)이며 왼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가면 (N, M)인 것이다.
세상을 이루는 격자의 정보와, K 개의 문자열이 주어졌을 때, 호석이가 대답해야 하는 정답을 구해주도록 하자.
풀이
1) DFS 를 이용
2) HashMap에 값을 보관하여 문자열이 만들어질 때마다 값을 찾아, value에 +1
3) max_length 를 두어 dfs 종료지점을 만들었다.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import java.util.Map.Entry;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m, max_length=0;
static char[][] map;
static Map<String, Integer> hs = new HashMap<>();
private static void dfs(int i, int j, String s) {
if (hs.get(s) != null) {
hs.put(s, hs.get(s)+1);
}
if (s.length() == max_length) { /* dfs 종료 지점 -> 신이 좋아하는 문자열 중 가장 긴 문자열 길이를 중심으로 !*/
return;
}
int[] dx = {-1,-1,-1,0,0,1,1,1};
int[] dy = {-1,0,1,-1,1,-1,0,1};
for (int k = 0; k < 8; k++) {
int xx = i + dx[k];
int yy = j + dy[k];
/* 예외처리 */
if (xx < 0) xx = n-1;
if (xx >= n) xx = 0;
if (yy < 0) yy = m-1;
if (yy >= m) yy = 0;
dfs(xx, yy, s+String.valueOf(map[xx][yy]));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K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ap = new char[n+1][m+1];
for (int i = 0; i < n; i++) {
String s = br.readLine();
for (int j = 0; j < m; j++) {
map[i][j] = s.charAt(j);
}
}
String[] valueSet = new String[K]; //순서대로 입력하기 위함.
for (int i = 0; i < K; i++) {
String s = br.readLine();
hs.put(s, 0);
valueSet[i] = s; //일반 배열에 값을 넣어주어 나중에 출력할 때 위함.
max_length = Math.max(max_length, s.length());
}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dfs(i,j,String.valueOf(map[i][j]));
}
}
for (int i = 0; i < K; i++) {
System.out.println(hs.get(valueSet[i]));
}
}
}
'알고리즘 공부하기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1403 경로 찾기 JAVA (0) | 2023.05.20 |
---|---|
백준 1927 최소 힙 JAVA + priorityQueue 사용 X (0) | 2023.05.13 |
백준 1202 보석 도둑 JAVA + TreeMap이용. (0) | 2023.05.12 |
백준 10844 쉬운 계단 수 JAVA (0) | 2023.02.05 |
백준 15683 감시 JAVA (0) | 2023.01.19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boj
- 백엔드개발자
- 자료구조
- 커리어멘토링
- TiL
- 국비지원캠프
- 백준
- 백엔드
- qjzl
- 패스트캠퍼스
- 국비지원취업
- 그룹스터디
- 야놀자X패스트캠퍼스부트캠프
- 백엔드부트캠프
- springboot
- 국비지원
- 데이터베이스
- 자료구조 #스택 #큐 #덱 #선형자료구조
- 패스트캠퍼스강의
- 그룹스터디워크샵
- 야놀자
- Java
- 과정중간회고
- 부트캠프
- 스터디후기
- 프로젝트후기
- be
- #국비지원취업
- 채팅기능개발
- 카카오API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